
대구·경북 지역이 코로나19 영향으로 2,340억8,600만원의 생산유발액이 감소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장 가동중단 및 생산차질에 따른 지역기업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피해기업에 대한 금융 및 세제지원 등 다각적인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북테크노파크 정책기획단 김상곤 단장, 대구경북연구원 임규채, 김용현 박사, 대구테크노파크 조정일, 이현지 박사가 12일 ‘대경 CEO Briefing’ 제600호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지역산업의 영향과 대응 방향’이라는 주제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보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지역 일자리 및 제조업과 관광산업의 생산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 공장의 운영 중단이나 물류시스템 마비가 장기화하면 제품 생산에 필요한 원료나 재료 등의 수입에 차질이 예상되며 정상적 기업 활동이 어려울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장기화할 경우, 해외수요 감소, 소비심리 둔화, 서비스업 부진, 위험 기피 성향 확산으로 경기침체 가속, 자동차부품, 관광업, 음식점 및 숙박업, 운송업 등 자영업 중심 피해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국내 첫 환자 발생 이후 1개월간 중국 관광객 감소로, 대구지역 생산 123억 감소, 취업자 188명이 감소했으며, 경북지역은 중국 관광객 감소로 1개월간 약 68억 생산 감소, 취업자 39명이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와 더불어 취약계층의 경제 활성화 및 위기 대응 강화 지원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대구경북지역 소상공인, 전통시장, 중소 제조기업, 일자리, 지역관광 중심 테스크포스팀 구성을 통한 지원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취약계층 분야별 현황 밀착 모니터링 및 대응방안 모색과 피해신고센터 운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전염병 실제 위기상황과 유사한 가상 시나리오 설정, 신종전염병 위기관리대응 모의훈련 실시 체계화 등도 중요한 대안이다고 밝혔다. 지역경제의 중국경제 의존성 완화와 주력 부품 국내생산체제 도입이 필요하며, 피해기업에 대한 명확한 구제대책 마련 및 정책자금이나 금융기관의 신용자금 공급을 통한 기업의 애로 해소가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각종 천재지변 및 전염병 등 공포는 국가 및 지역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주지만 교역도 시간 위기 대응 시스템 메뉴얼화의 대응책 마련은 중장기적으로 미래 교역 및 거래 증진에 기회 요인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정책기획단 (053-819-3020)
www.gbtp.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