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기고진화하는 마스크, 마스크는 과학이다!

글/대외홍보팀

진화하는 마스크, 마스크는 과학이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라고 했던가? 1년도 채 안되어 마스크는 우리 생활 속 필수품이 되었고 점점 진화되고 있는 마스크를 쉽게 볼 수 있다. 마스크 물량부족 사태를 틈타 다회용 마스크가 나오더니,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되자 숨 쉬기 편한 제품들이 관심을 받고 있다. 더 나아가 프린트, 컬러를 입혀 차별화된 패션 마스크와 함께 헬스 케어 기능이 더해지는 기능성 마스크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올 한해로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불길한 예감이 되는 지금, 마스크 재활용 기술까지 나왔다. 마스크를 쓰고 숨이 가빴던 만큼이나 마스크를 둘러싼 기술 전쟁도 숨 가쁘게 벌어지고 있다. 이제 마스크를 쓰지 않는 게 더 어색하게 느껴질 만큼의 마스크가 일상이 되어버린 지금 피하지 못한다면 즐길 도리밖에 없다. 미세먼지 문제와 함께 시작된 기능성 마스크의 기술 진화가 코로나19로 인해 몇 배나 빨라졌다. 미세먼지를 막는 본연의 기능에 공기청정 기능을 접목한 마스크, 필터 교체 시기를알려 주는 마스크, 의사소통을 쉽게 하는 마스크 등 다양한 기술이 마스크에 덧입혀지고 있다.

피할 수 없다면 편하고 예쁘게

마스크 생산물량이 부족했던 시기에 소비자들의 관심을 가장 많이 받았던 제품은 역시 다회용 마스크이다. 비말차단 기능이 떨어지는 천마스크의 단점을 보완한 기능성제품들로 대부분 KF94 마스크에 비해 피부자극이 적고 장시간 착용해도 귀가 아프지 않으며 반복세탁이 가능해 경제적이라는 이점을 내세웠다. 내구성이 뛰어난TPU소재를 사용하면서 초경량을 실현해 활동성을 높인 젤리팜 소프트핏 마스크, 미국에서 개발된 물리적 항균코팅 기술을 적용해 90일간 항균력이 지속되는 에스디랩코리아(SD Lab Korea)의 ‘스노우 패션 마스크 E’, 항균·향취 효과가 우수한 구리원사를 사용한 TS트릴리온의‘TS항균구리마스크’, 필터교체형으로 손세탁 후 재사용이 가능한 애경산업의 ‘스키니 스트릿 마스크’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당초 기대와 달리 마스크 착용이 장기화 되고 여름을 맞이해 날까지 더워지면서 답답하다는 불만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숨쉬기 편한 마스크가 주요 검색어로 등장한 것은 이때부터 인 것 같다. 일회용 비말차단 마스크가 이런 문제점을 어느 부분 해결해주지만 신체활동이 많은 이들에게는 충분하지 않았다. 그래서 등장한 공기청정기 마스크와 산소 발생 마스크가 개발되었다. LG전자가 개발한 이 마스크는 호흡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가 있어 마스크 안으로 들어오는 공기량을 조절해주는 제품이다. 130g으로 무게가 무거운 것이 단점이지만 오래착용해도 편하다는 평이 나오고 있다.


대화도 커피도 포기 못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가 되면서 카페와 음식점에서 마쓰크를 쓰고 사람들과 마스크를 쓰고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마스크를 보면 표정을 볼 수 없으니 마음을 읽기 어렵고, 입모양이 보기 어려우니 소통이 어려운 것이 당연지사. 특히 입모양을 보고 소통하는 청각 장애우 들에게 불편함이 주목받았다. 실리콘재질이나 비닐로 만든 투명 마스크가 뉴스에 등장한 것은 이때부터이다. 마스크는 범죄자나 쓰는 것으로 인식되어 코로나 유행초기부터 마스크 착용을 반기지 않았던 해외에서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에서 투명 마스크가 펀딩에 크게 성공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대표적 사례로 ‘시어스(SEEUS)95’라는 이름의 마스크이다. 이 마스크 개발자는 앨리스천 콜롬비아대학교 교수로 한국계 재미교포이다. 마스크로 인해 청각장애인이 사회적 관계를 할 수 없는 상황에 주목해 이 마스크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피부에 무해한 키토산과 실리콘 재질로 만들어져 투명한 이 마스크는 귀에 끈이 없어 장시간 착용해도 통증이 없고 물로 새척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다. 기능성을 뛰어 표정을 보여주는데 충실한 재버마스크(Jabber Mask)가 등장했다. 음성인식 기술과 LED를 이용해 사용자의 감정을 표현해 준다. 사용자가 마스크를 끼고 말을 하면 적당한 입모양이 LED로 표시되는 방식이다.

* 이미지 출처 : indiegogo (관련영상 : https://youtu.be/1jqevbJid44 )